주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푸터 바로가기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Container

Notes on Glossaries
Chinese Personal Names
  • 1 본 목록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중국 인명으로 2014년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일본지명색인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약 4,800건 가운데 검토결과 인명이 아닌 것과 조선, 류큐 등 기타 국가 인명을 제외한 약 4,700건을 다룬다.
  • 2 본 목록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중국 지명의 발음(병음표기 및 한글표기)과 국문·영문 설명을 제공한다.
    • 가) 이름의 병음표기에서 성조부호는 생략하였다.
    • 나) 청대 만주 인물의 발음은 한자 병음 대신 가급적 원래 만주어 발음으로 표기하였다.
    • 다) 영문설명 포기 원칙은 별도의 “영문설명 작성원칙”에서 설명한다.
    • 라) 국문설명속에서 인명은 한국식 한자어 독음으로 표기하였다.
  • 3 본 목록에 포함된 인명의 한글, 한자 표기는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온라인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형태를 그대로 따랐다.
    • 가) 실제 인명과 비교해서 명백한 오류가 있을 경우 해당 인명 표기 뒤에 대괄호 [ ]를 넣고 그 안에 바른 표기를 덧붙였다.
    • 나) 자(字), 호(號) 등 이칭은 별도 항목을 유지하되 인명 설명은 대표 인명 항목을 참조하도록 하였다.
    • 다) 동일한 인물에 대한 동일한 인명 표기라 하더라도 이칭이 다른 경우는 별도의 항목으로 두었다.
    • 라) 실록 원문에 대한 명백한 오독에 의해 별도의 인물로 분류된 경우는 삭제하였다. (예. 賈誼를 賈誼로 잘못 읽은 경우)
    • 마) 인명의 한자 표기가 불분명한 경우는 대만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에서 제공하는 25사에 표기된 형태를 따랐다.
  • 4 중국 출신으로 조선에 귀화한 인물은 본 항목에서 제외하였다. 반대로 고려, 조선 출신으로 중국에서 활동한 인물들은 포함하였으며 중국 발음으로 표기하였다.
  • 5 청대 인물 가운데 일부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별도로 정리작업중인 여진(만주)/몽골 인명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차후 재정리할 필요가 있다.
  • 6 본 목록은 최종 결과물이 아니며 차후 지속적으로 교정, 보강될 예정이다.
인물 영문 설명 작성 원칙
[ 인명 및 관작명 ]
  • 1. 성명 : 성과 이름의 첫 글자는 각각 대문자로 표기하며, 성과 이름이 각각 2음절 이상일 경우, 첫음절만 대문자,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한다.
    • 예) 2음절 杜甫 Du Fu
    • 예) 3음절 獨孤/及 Dugu Ji, 柳/宗元 Liu Zongyuan
  • 2. 황제 및 王號
    • 가. 廟號의 경우 모두 병음으로 표기한다.
    • 나. 시호의 경우 Emperor + 시호 + (of 國名)의 형식으로 표기한다.
      • 예) 2음절 杜甫 Du Fu
      • 예) 3음절 獨孤/及 Dugu Ji, 柳/宗元 Liu Zongyuan
    • 다. 왕호는 춘추전국시대에는 “king of 국명 또는 지역명”으로, 그 이후는 모두 Prince of 로 통일. 이는 king에는 reigning monarch의 뉘앙스가 강하기 때문임.
  • 3.황후, 후궁 및 공주
    • 가. 황후 : the Empress + 시호 또는 姓
      • 예) 長孫皇后 : the Empress Zhangsun
    • 나. 후궁 : 성과 후궁의 명칭은 띄어 쓰며, 각각 첫음절을 대문자로 표기하거나, 후궁의 봉작명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는, ‘Consort +성’ 또는 ‘Lady +성’의 형식으로 기재함
      • 예) 楊/貴妃 Yang Guifei
      • 예) 武/惠妃 Wu Huifei
    • 다. 공주 : the Princess + 封號의 형식으로 표기하며, 봉호는 병음으로 표기한다.
      • 예) 文成公主 the Princess Wencheng
  • 4. 작호(爵號)
    • 가. 侯의 경우 춘추전국시대의 제후의 작위로 쓰인 侯는 “lord”로, 한대의 작위 체계 속의 侯는 “marquis”로 표기함.
      * 연구서에 따라서는 춘추전국시대의 侯도 “marquis”로 표기하기도 함.
      • 예) A minister (dafu 大夫) in the state of Cai 蔡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He was killed by Lord Zhao of Cai (Cai Zhao Hou蔡昭侯).
      • 예) A eunuch who was appointed as marquis (hou 侯) by Emperor Huan of Han (Han Huan Di 漢桓帝).
    • 나. 춘추전국시대의 공(公)은 모두 “duke”로 표기.
      • 예) Duke Wen of Jin (Jin Wen Gong 晉文公).
[ 지명 ]
  • 1. 漢代
    • 가. 西漢
      • 郡 commandery
      • 縣 county
    • 나. 東漢
      • 縣 county
      • 郡 commandery
      • 州 province
      • 예) 사마의는 하내(군) 온현 사람이다.
        Sima Yi was born in Wen county, Henei commandery.
  • 2. 魏晉南北朝時代
    • 州 province
    • 郡 commandery
    • 縣 county
  • 3. 隋・唐代
    • 州 : Prefecture
    • 郡 : Commandery
    • 縣 : County
    • 道 : Circuit
    • 府 : Superior Prefecture
    • 京縣 : Capital County
    • 畿縣 : Mertopolitan County
    • 鎭 : Frontier Commands, Defense Commands, garrison 가운데 그때그때 적절한 것으로.
    • 京兆郡/京兆府 : Capital Prefecture
    • 鄕 : township
    • * 영문 표기는 의미를 살려 번영하는 경우와(예 : 荊州 Jing Prefecture)와 중국어 병음 그대로 표기(예 : 荊州 Jingzhou)하는 경우가 모두 통용되므로 두 가지를 혼용하여 표기 할 수 있다.
  • 4. 현대 : 현대의 경우 명칭 그대로 중국어 병음으로 서술.
    • 예) 절강성 항주 Hangzhou in Zhejiang (provice)/ Hangzhou, Zhejiang (province)
    • 예) 하남성 온현 Wenxian in Henan (province) / Wenxian, Henan (province)
[ 왕조, 연호 표기 원칙 ]
  • 1. 왕조
    • 가. 왕조 명칭은 병음으로 표기하되, 왕조명 앞에 창업자의 姓이 붙는 경우는 병음으로 표시하고, 동서남북의 방위명이 붙는 경우는 영어로 번역한다.
    • 나. 춘추 시대의 衛는 전국 시대 魏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각각 Wey와 Wei로, 전국 시대 韓은 漢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Hann으로 표기하였는데, 모두 캠브리지 고대사의 용례를 따른 것임.
    • 다. 魏의 경우, 중국 역사상 다수의 왕조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춘추전국시대의 魏의 위는 the Wei로, 삼국시대의 魏는 曹魏(the Cao Wei)로, 위진남북조시대의 위는 북위(the Northern Wei) 등으로 구분하여 서술한다. 이 원칙은 다른 왕조의 영문 표기에도 적용된다.
      • 西漢 : the Western Han (Dynasty)
      • 東漢 : the Eastern Han (Dynasty)
      • 曹魏 : the Cao Wei (Dynasty)
      • 吳 : the Wu (Dynasty)
      • 東吳 : the Eastern Wu (Dynasty)
      • 蜀 : the Shu / the Shu Han (Dynasty)
      • 北魏 : the Northern Wei (Dynasty)
      • * 왕조명 앞에는 정관사 “the”를 생략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영어권 연구서 중에서는 이런 형식에서 the를 생략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임.
  • 2. 한 대 이후, 즉 중세사 이후에는 연호 사용 기간, 年間은 era로 시대는 period로 통일. 다만 고대사에도 시대는 period로 통일. 다만 고대사, 특히 한대 부분에선 연호가 후대에 비해 체계적이지 않고, 어떤 시대를 연호로 지칭하는 경우도 별로 없어서 era 대신 보다 느슨한 reign period를 혼용하기도 함.
    • 예) 貞觀年間 the Zhenguan era
    • 예) 南北朝時代 the Period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 예) the reign period of Jianwu 建武.
[ 관직 표기 원칙 ]
  • 1. 한(漢)을 포함 그 이전까지의 시대는 Michael Loewe의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Qin, Former Han and Xin Periods (Brill, 2000)와 Denis Twitchett edited.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1 (Cambridge Univesrity Press, 1986)의 용례를 따랐고 그 이후 시기는 Charles Hucker의 A Dictionary of Official Titles in Imperial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5)을 기준으로 삼았음.
  • 2. 관직의 경우 의미를 살려 번역하지 못할 경우에 한해 병음으로 표기함.
    • 右拾遺 youshiyi
    • 供奉官 Gongfengguan
    • 協律郞 Xielülang
  • 3. 동일한 계열의 관직명도 시대에 따라서 번역을 달리한 부분이 있음.
    • 춘추전국시대: 相, 令尹 prime minister
    • 진한대: 丞相 chancellor
TOP